세무사 학원 추천 (비교 솔직 후기)
- 기초 학문 내용
- 2023. 2. 12.
안녕하세요 오늘은 세무사 학원에 대해 비교 리뷰하는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세무사 응시인원이 최근 급증하고 있고 세무사라는 자격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관심도도 증가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험생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세무사 강의를 하는 메이저 학원 3군데에 대한 비교를 해보고자 합니다.
1. 세무사 시험의 기본 구조
세무사 시험은 5월 경에 보는 1차 시험 그리고 8월말 경에 보는 2차 시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차 시험 과목은 회계학, 세법, 재정학, 행정소송법 (or 상법) 입니다. 마지막 행정소송법 or 상법은 선택과목이기에 본인이 직접 골라야하고 행정소송법과 상법은 수험생들이 대다수 선택하는 과목입니다.
2차 시험 과목에 대해서는 과목별로 세분화해서 말씀드리자면, 재무회계, 원가관리, 세무회계, 세법학 이렇게 총 크게 4가지 과목을 보게 됩니다.
1차 시험을 합격하게 되면 2차 시험을 2번까지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2. 세무사 학원 추천 및 비교 후기
(1) 나무경영 아카데미
- 제가 세무사 학원을 알아볼 시기에는 나무경영 아카데미가 널리 알려진 편이었습니다. 우선 많이들 듣는 강사진 라인업으로는
재무회계: 김현식 , 최창규
원가관리: 김용남
세무회계: 이승철 , 이승원
세법학: 정병창 , 정정운
이렇게 있습니다.
- 나무경영 아카데미는 제가 다녔던 학교 기준으로는 세법학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였던거 같습니다. 동기들이 세법학에서 정병창 선생님 강의를 많이 들었고, 그 이유로는 깔끔한 강의력과 더불어 잘 정리된 교재 덕분인거 같습니다. 하지만 재무회계 김현식 선생님, 원가관리 김용남 선생님, 세무회계 이승철 선생님은 공인회계사 cpa 수험생들한테도 인기가 엄청 많은 만큼 선택하셔도 후회할 일은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2) 우리경영 아카데미
- 우리경영 아카데미 강사진 라인업으로는
재무회계: 김재호, 김영덕
원가관리: 임세진
세무회계: 강경태 , 주민규, 김영서
세법학: 정인국
이렇게 있습니다.
- 우리경영 아카데미 역시 회계사 세무사 수험생들이 강의를 많이 듣는 학원이며, 특히 스타 강사분들로는 원가관리 임세진 선생님, 세무회계 강경태 선생님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두분께서 해당 과목에서 수험생들한테 인기가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3) 위너스경영 아카데미
- 위너스경영 아카데미 강사진 라인업으로는
재무회계: 김기동
원가관리: 이승우, 홍상연
세무회계: 정우승
세법학: 유은종
이렇게 있습니다.
- 위너스경영 아카데미에서는 김기동 선생님께서 재무회계 분야에서 상당히 인기가 많으신걸로 알고 있으며 제가 얼핏 듣기로는 원가관리 이승우 선생님께서도 원가관리 심화 공부를 원하는 학생들한테 인기가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세무회계 정우승 선생님 세법학 유은종 선생님도 많이들 들었던거 같습니다.
각 세무사학원 강사진들의 라인업과 설명을 쓰고 보니 너무 모든 강사님이 좋다고 쓴거 같습니다. 근데 일부로 그런것은 아니고, 실제로 어느학원의 어느 강사분을 들어도 합격하는데 지장은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결국 본인과 핏(fit)이 잘맞는 강사님을 샘플 강의를 통해서 확인한 후 선택하는게 제일 좋을거같습니다.
(추가) 추가로 언급을 하고 싶은 학원이 있는데, 제가 알기로는 해커스경영 아카데미가 회계사 세무사 분야에서 요즘 빠르게 치고 올라오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해커스경영 아카데미 같은 경우 세무회계, 세법학 부문에서 원재훈 선생님께서 활약하고 계시는데, 그 분의 인기가 수험생들 사이에서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세법학 강사진을 고민중이신 분이라면 해커스경영 아카데미도 한번 참고해보시는것도 좋을거같습니다.
그럼 오늘 글 이만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초 학문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학 정책수단에 대한 기본적 소고 (0) | 2020.06.18 |
---|---|
국제경제학 개관 - 국제무역론 (0) | 2020.06.16 |
공공경제학- 지방재정에 관한 정리 (0) | 2020.06.15 |
공공경제학- 하버거의 모형 정리 (0) | 2020.06.15 |
통계학 개관- 수리통계학을 중심으로 (0) | 2020.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