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행정학에 대한 간단한 개관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행정학(Public Administration)이란 무엇일까요? 행정을 경영으로 보는 학자도 있지만, 현대에는 행정과 경영을 분리해서 보려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행정이란 공익을 실현하기 위해 법치주의 하에서 행해지는 능동적인 국가작용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보다 수월하게 효과적으로 할지 연구하는 학문이 있는데요, 바로 행정학입니다. 오늘은 행정학의 주요 단원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행정가치 (Public Value) -행정가치는 행정학의 본질을 이루는 단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든 국가작용 또는 모든 행정은 결국 특정 행정가치(Public Value)를 목표로 해서 이루어지게 됩..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거시경제학' 개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시경제학은 국민경제 상태를 보여주는 총체적 변수들의 운동관계 그리고 균형관계에 대해서 연구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 거시경제학 (Macro Economics) -거시경제학은 크게 총수요(Aggregate Demand)와 총공급(Aggregate Supply)과 관련된 단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총수요는 우리나라 전체에 존재하는 개별수요들의 합이라고 볼 수 있고, 총공급은 우리나라 전체에 존재하는 개별공급들의 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손에 만져지는 (Tangible) 개념은 아닙니다. 즉, 한 국가내 모든 수요와 공급을 일종의 인덱스화(Index)해서 표현한 추상적인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거..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을 아우르는 경제학 개관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경제학은 크게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미시경제학은 경제 내에서 개별 경제주체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다루는 분야이고, 거시경제학은 그러한 개별 경제주체들의 움직임이 모여져서 만들어지는 총체적 변수 (Factor) 들의 움직임을 살펴보는 분야입니다. 1. 미시경제학 (Micro Economics) -미시경제학의 주요파트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소비자 선택이론, 생산자이론, 완전경쟁시장이론, 독점시장이론, 과점시장이론 그리고 이를 이해하기 위한 게임이론, 생산자 요소 이론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보 비대칭을 다루는 정보경제학이 있습니다. (1)소비자선택이론 -소비자 선택이론에서 ..